VALS2 모델은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의 구매 특성(원칙 지향적, 지위 지향적, 행위 지향적)과 자원(물질적, 심리적, 신체적)을 기반으로 소비자 유형을 분류한 모델이다. VALS2는 소비자를 8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 (혁신자, 사상형, 성취형, 경험추구형, 신뢰형, 노력형, 제작형, 생존형)
소비와 관련된 요소 및 소비자의 이해관계들에 의해 유형을 구분한 것이 차별화된 부분이다.
DISC는 개인의 기질 및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람의 행동경향(스타일)을 기반으로 인간 유형을 분류한 모델이다. DISC는 행동경향을 기준으로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D 주도형, I 사교형, S 안정형, C 신중형)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질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한 것이 차별화된 부분이다.
혁신수용모델은 소비자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데 있어 어떠한 구매태도 및 심리특성을 보이는지 분석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용성향 및 시기를 기반으로 소비자 유형을 분류한 모델이다. 혁신수용모델은 소비자를 수용시기를 기준으로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혁신수용자, 조기수용자, 조기다수자, 후기다수자, 지각수용자). 소비자의 유형을 새로운 기술의 수용 주기를 기준으로 분석한 것이 차별화된 부분이다.
애니어그램은 인간의 행동 및 성격을 분석하기 위해 신체의 중심 에너지(장/가슴/머리) 기반으로 유형을 분류한 모델이다.
애니어그램은 인간을 9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개혁가, 조력가, 성취가, 예술가, 사색가, 충성가, 낙천가, 지도자, 중재자). 몸의 에너지 흐름을 통한 인간의 내면적 성향을 분류하여 유형을 구분한 것이 차별화된 부분이다.
소셜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관점에 비롯한 고객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선호요소 및 니즈(Needs)를 기반으로 고객 유형을 분류한 모델이다. 소셜라이프스타일은 고객을 9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자기만족형, 자기계발형, 자유분방형, 타인의존형, 실리추구형, 사교활동형, 사회관심형, 사회참여형, 사회선도형).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고객을 구분한 것이 차별화된 부분이다.